[한반도 브리핑] 북한, ICBM 도발…윤대통령, 첫 NSC 주재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·안보 이슈를 다시 정리해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'한반도 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외교·안보 부처와 북한 문제를 담당하는 지성림 기자와 함께합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주에 있었던 일 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슈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(ICBM) 발사인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그것도 조 바이든 대통령이 한일 순방을 마치고 미국에 도착하기 직전에 ICBM을 쏘아 올려 눈길을 끌었죠.<br /><br />또 핵실험 준비도 사실상 마무리돼 북한 당국이 마음만 먹으면 당장에라도 7차 핵실험을 감행할 수 있다고 하고요.<br /><br />이처럼 한반도 정세는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우선 오늘 어떤 얘기를 전해주실지, 핵심 주제부터 먼저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말씀하신 것처럼 북한은 지난 수요일 오전 6시,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에 도착하기 2시간 전에 ICBM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ICBM을 발사하고 단거리 미사일도 2발 쐈는데, 이렇게 탄도미사일을 섞어서 쏜 의도가 뭔지 짚어볼까 합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이 같은 무력 시위에 한미 군 당국은 미사일을 발사하며 오랜만에 공동 대응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를 주재했는데,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유엔 안보리는 ICBM을 발사한 북한을 추가로 제재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지만,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의안 채택이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이 내용도 소개할까 합니다.<br /><br />마지막으로, 북한은 코로나19 등 전염병에 걸린 신규 환자가 감소하는 추세라고 밝혔는데, 현재 어떤 상황인지 소개하고, 또 7차 핵실험은 언제쯤 강행할지도 전망해볼까 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0일 한국에 도착해 다음 날인 21일 한미정상회담을 하고 22일에 일본으로 건너갔습니다.<br /><br />일본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24일 저녁 귀국길에 올랐는데요.<br /><br />북한은 바이든 대통령의 한일 순방 기간에는 잠잠하다가 미국에 도착하기 직전에 ICBM을 비롯한 탄도미사일을 전격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북한의 이번 도발은 미국에 주는 메시지라고 봐야겠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북한이 지난 수요일에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총 3발입니다.<br /><br />3발 모두 평양 순안 일대에서 발사됐습니다.<br /><br />미사일 발사 시각은 각각 오전 6시, 6시 37분, 6시 42분쯤이라고 합동참모본부는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군 당국은 북한이 가장 먼저 발사한 것을 신형 ICBM '화성-17형'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360km, 최고 고도는 약 540km로 탐지됐습니다.<br /><br />즉 최대 성능 시험은 아니고, 1단 추진체 연료만 연소된 뒤에 단 분리가 이뤄진 정도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ICBM이 발사된 시각은 오전 6시인데, 한일 순방을 마친 조 바이든 대통령이 탄 전용기가 미국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한 시간은 한국 시간으로 25일 오전 8시쯤이었습니다.<br /><br />즉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에 도착하기 2시간 전에, 전용기가 상공에 있을 때 ICBM을 쏜 겁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"북한이 바이든 대통령 뒤통수를 쳤다"고 표현하기도 하던데요.<br /><br />타이밍으로 보면 이번 ICBM 발사는 바이든 대통령의 한일 순방에 대한 분명한 반발 메시지인 겁니다.<br /><br />북한은 ICBM과 함께 '북한판 이스칸데르'로 불리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'KN-23'도 2발 더 발사했는데, 이건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한국과 일본에 보내는 경고 메시지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6시 37분에 발사된 KN-23은 고도 20km 상공에서부터 탐지가 안 돼 실패한 것으로 보이고, 5분 뒤에 발사된 KN-23은 최고 고도 60km를 찍고, 약 760km를 비행한 것으로 탐지됐습니다.<br /><br />한미일을 겨냥해 사거리까지 맞춰서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한 건데요.<br /><br />국정원은 김정은 집권 이후 이번처럼 2종류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동시에 발사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미일을 겨냥한 반발 메시지라는 얘긴데요.<br /><br />북한의 도발에 한미 군 당국도 군사 행동으로 맞대응을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도발에 한미가 공동으로 대응한 것은 오랜만이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리 군은 수요일 오전에 강원도 강릉 인근에서 동해상으로 '현무-2'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, 주한미군은 에이태큼스 지대지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합참은 북한의 추가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연합 전력의 신속한 타격 능력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는데요.<br /><br />북한의 도발에 대한 한미 군 당국의 공동 대응은 2017년 7월 이후 4년 10개월 만입니다.<br /><br />한미 군 당국은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를 준비하는 정황을 사전에 파악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우리 공군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 징후를 사전에 포착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 전날인 화요일 F-15K 전투기 30여 대를 동원해 활주로에서 '엘리펀트 워크' 훈련을 실시했습니다.<br /><br />엘리펀트 워크 훈련은 다수의 전투기가 최대 무장을 장착하고 밀집 대형으로 이륙 직전까지 지상에서 활주하는 훈련입니다.<br /><br />합참은 "우리 군의 이번 무력 시위는 북한의 ICBM 발사 등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의지와 압도적인 전력으로 도발 원점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 것"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의 ICBM 발사에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를 주재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NSC 회의가 끝난 뒤 별도의 규탄 성명도 발표했는데요.<br /><br />윤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구체적으로 어떤 지시를 내렸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의 ICBM 발사 3분 만인 오전 6시 3분 유선으로 보고를 받고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를 소집했습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 주재로 오전 7시 35분부터 1시간가량 NSC가 열렸는데요.<br /><br />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동향과 우리 군의 대비 태세를 보고 받은 뒤 "대한민국 안보에 한 치의 빈틈도 없도록 상시 대비태세를 ...